한국IBM, 하반기 클라우드 전략발표…업무분야별 솔루션에 주력
IBM은 국내 기업들이 솔루션 개발과 테스트, 협업 등 분야에서 클라우드 솔루션 수요가 많을 것이라고 판단하고 업무분야별 클라우드 솔루션 제공에 주력할 계획을 밝혔다.
케빈 리히 IBM IT최적화 비즈니스 전략 마케팅 담당 전무는 “기업 입장에서 테스트 개발, 인프라스트럭처, 애널리틱스, 스토리지, 협업 등이 클라우드를 도입하기 쉬운 부문”이라며 “반면 민감한 데이터를 다루거나 트랜잭션 처리 등 다른 시스템과 연결돼 의존성이 높은 영역은 상대적으로 어려울 수 있다”고 말했다.
IBM이 제공하는 클라우드 솔루션은 ‘스마트 비즈니스 서비스’와 ‘스마트 비즈니스 시스템’으로 구분된다. 스마트 비즈니스 서비스는 기업용 프라이빗 클라우드 구축 솔루션 ‘스마트 비즈니스 클라우드’와 IBM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 ‘스마트 비즈니스 온 더 IBM 클라우드’ 두 가지다. 스마트 비즈니스 시스템은 클라우드 구축에 필요한 SW와 HW를 통합해 제공하는 인프라 솔루션이다.
IBM은 지난해 7월 기업들이 IT환경을 클라우드로 구축하도록 지원하는 ‘스마트 비즈니스 테스트’를 보완한 ‘스마트 비즈니스 개발 및 테스트’를 소개했다. 프라이빗 클라우드 형태로 테스트 환경을 구축해주는 솔루션에서 개발과 테스트를 함께 지원하도록 바뀌었다. 이밖에 실무자 환경을 위한 ‘스마트 비즈니스 데스크톱 클라우드’와 인프라와 보안 분야를 보완하는 ‘스마트 비즈니스 스토리지 클라우드’도 강화된다.
기업에 필요한 솔루션을 제안하는 클라우드 컨설팅 서비스도 소개됐다. 리히 전무는 “기업사용자 환경에서 모든 업무종류가 클라우드에 적합한것은아니다”라며 “IBM은 고객 업무 가운데 어느 영역이 클라우드 전환에 우선 적합한지 의논해 비즈니스케이스를 작성하게된다”고 설명했다.
한국 IBM은 현재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들과의 차별점으로 개별 업무 특성에 알맞은 분야별 솔루션을 알리고 클라우드 도입 가이드를 제공하는 워크샵을 진행중이다. 올하반기부터 클라우드 도입 성과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는 툴도 지원할 예정이다.
리히 전무는 “IBM은 클라우드 수명주기 관리와 장기간 성과를 모니터링하는 ‘클라우드 ROI 툴’을 지원하게 된다”며 “이를 통해 어디서 비용이 절감됐는지,어디서 가치를 얻을 수 있는지 파악 가능하다”고 말했다.
———-
+ 클라우드 사업계획 /
케빈 리히 IBM IT최적화 비즈니스 전략 마케팅 담당 전무,
주은심 한국IBM 클라우드 컴퓨팅 사업 총괄 전무
마이클 섈크로스 IBM GMU IT전략 아키텍처 서비스
홍광헌 한국IBM 클라우드 컴퓨팅 테크니컬 아키텍트 상무
박종백 한국IBM SWG 티볼리 비즈니스 총괄 사업부장
IBM은 73일만에 자체 클라우드 도입 가치를 회수할 수 있었다
– 모든업무에 클라우드를 도입해 즉시 효과를 얻을수는 없다
– 가장 시급하게 해결할 수 있는 부분에 클라우드를 적용하는것이 ROI를 빠르게 달성
– 테스트& 개발환경에 우선 투자할 수 있다 모든 고객사들이 가장 빠르게 투자대비효과를 달성가능하다
– “SW, HW,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 업무별로 나뉘어있던 자원들을 가상화와 클라우드 구축을 통해 상호연결되고 공유된 환경에서 자원들을 공유할수있다”
-“자동화수준이 패러다임이동시킬정도로 크게변화하고있다” “과거 한사람이관리할수있는서버는 많아야 200대였는데이제 2천대까지 가능하다”
– 높은수준 자동화에 필요한 것은 ‘표준화’다?
– IBM은 고객이 선택한 서비스에 맞춰 시스템이 자동으로 대응하는 셀프서비스 자동화 제공한다
– IBM 테크니컬어답션프로그램으로
-고객사들이 초기 클라우드 도입시 겪는애로사항이 비즈니스프로세스를 어떻게 바꾸어야하는지다
– 표준화는 비즈니스프로세스를 결합하기 쉬워지고
– 자동화는 응답시간을 줄이고 고객서비스 요청시 이를 즉각대응할수있어 더적은비용으로 더많은일을 할수있다
– 서비스 생성시 수명주기를 고려해 요청시 대응과 철수를 즉시반응하는 민첩성을 갖출수있다
프라이빗클라우드는
퍼블릭클라우드는 여러고객사들이 공유하고 필요한만큼사용 사용한만큼 지불
많은 고객들이 그 중간형태인 하이브리드클라우드를 위해 투자중이다 주요업무는 프라이빗클라우드로 가고 비중요업무 퍼블릭으로가서 비용조절
– 클라우드에도입하기 용이한 , 클라우드 준비된, 것인지 구분하는 기준 – 표준화된 것인지, 응답시간이 포함돼있는지, 정부규제가 관련돼있는지 등
– 테스트 개발, 인프라스트럭처, 애널리틱스, 스토리지, 협업 등이 클라우드로 가기 좋은 것들이다 민감한 데이터와 복잡한 트랜잭션타입 애플리케이션 등 다른 시스템과 연계 의존도 높은 시스템은 클라우드로 가기 어렵다
– 메디컬이미징, 에너지관리 같은 분야는 새로이클라우드에도입하면 더 개선될 것들
IBM 차별화 가치
– 클라우드 도입으로 달성할수있는 가치를 명확히 보여줄수있고
– 도입효과를 측정하는 툴을 제공하고
– 클라우드 이행시 고객사가 걱정한 보안에 대한 것도 지원하고 비즈니스에 도입시 바로 사용할수있는 즉시성 제공하고
– 새로운 사용자들이 제대로 이해할수있는 간단한 유저인터페이스 제공
– 이노베이션센터 랩 있고 전세계 퍼블릭이든 프라이빗이든 고객 맞춰 지원할수있는 전세계 인프라 갖고있다
국내 사례 1
글로벌 IBM퍼블릭 클라우드 로터스라이브 인게이지, 실시간 협업, 삼일제약. 파일공유와 실시간 협업.
테스트 개발 자원 공유 환경 SKT, 시스템자동화플랫폼 환경 구축, 신상품개발소요시간 단축
데스크톱클라우드 환경 국내 B증권사 C대학교 등 정보원천통제, 보안구현(증권사), 이동성과 보안강화한 사용자컴퓨팅(대학교) 어디서나 동일한 PC환경
2010년 발표된 솔루션은
고객컨설팅 서비스 솔루션
IBM 글로벌 퍼블릭클라우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들
ㅈSKT 도입 클라우드는 어떻게 추가로 진행돼가고있나 (박종백)
ㄷ하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발환경 클라우드(2009) , 올해 미터링과 빌링 쪽 확장하는 부분 진행중이고, SKT가 퍼블릭클라우드 시장에 진출하려는 영역은 다른 파트로 H사(HP)가
ㅈ글로벌 미터링 솔루션 불만떄문에 자체개발 경우있던데 SKT입장은 어떻다던가
ㄷ미터링솔루션 글로벌벤더는 IBM뿐이고 HP는 없다 필요한것은 고객니즈에따라서 사용량
외국은 부서별 빌링 니즈 있고 국내는 클라우드하면서 빌링까지 실질적으로 고민하는경우는 없다 삼성SDS는 현재 전사적으로 개발중인 빌링솔루션에서 그런부분 고민중이다
ㅈ워크로드별 최적화는 다 하는얘기아니냐 (박종백)
ㄷ그렇지만 경쟁사와달리 IBM은 모든분야에대한 토털솔루션을 갖추고있어 빠짐없이 지원가능하다
ㅈ파이낸셜리스크는 어떻게
ㄷ(리히) 고성능컴퓨팅을 통해 금융분야 위험관리와 효과적인 분석가능 (섈크로스) 부정사용에 대한 탐색이 금융시스템에서 중요 워크로드가운데 하나인데 다른시스템에서 많은 데이터를 분석하고 인텐시브 애널리틱스 필요한 작업이므로 클라우드컴퓨팅에 적합하다
ㅈIBM은 솔루션말고 도입자체에 대한 지원책 제공안 있는지 기업들은 어떤솔루션인지에대한 고민은 그리하지않고 있는듯도 적당히싼거
ㄷ(리히)그렇다 클라우드로 이행하는것은 공짜가 아니다 이런부분을 위해 매니지먼트 플랫폼 구축시 내부든외부든 워크로드를 구축할수있도록 만들었다 동일프로세스가 프라이빗이든퍼블릭이든 비즈니스프로세스를 바꾸지않고 정책만바꿔서 쓸수있게 구현했다
= 캐스트아이언을 인수한이유 외부클라우드와 내부클라우드에서 쓰는 애플리케이션 통합지원하는 솔루션 있기때문
ㄷ네트워크업체 시스코 주니퍼 노텔 등과는 클라우드 이전부터 협력해왔다
—
100617 취재 기사로 씀 200613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