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인공지능(AI)의 자연어처리(NLP) 성능이 비약적으로 향상됐다. 명료하게 떨어지지 않는 일상언어와 현실에 더 잘 적응하게 됐다는 뜻이다. 이런 실용적인 자연어처리 AI 기술이 제품화되면서 일반인들이 이를 경험할 기회도 많아졌다. 이는 자연어처리 AI가 앞으로 디지털·물리적 사물을 다루는 중요한 수단으로 확산될 것이라는 기대를 품게 한다. IT분야 취재기자로서 연구자들과의 대화를 위한 교양지식 쌓기가 시급해졌다. 매일 경제효과가 얼마고 시장이 규모가 얼마고 …
2017년 분기별 기획기사 톱5 셀프 어워드 上
2017년이 가버렸다. 역시 정신없이 지났다. 올해도 그럴 예정이다. 작년보다 더할 듯싶다. 연초 조직개편과 인사발령으로 새로운 역할을 맡게 돼서다. 망중한에 의미를 두기로 했다. 날씨 풀리면 더할 테니 그나마 연초에 부릴 수 있는 여유를 최대한 부려 본다. 지난해 달마다 기억에 남을만한 기사를 찾아 곱씹어 본다. 내용도 뒷얘기도 새겨 본다. 1분기(1~3월) 5위. 구글, 최상위 인증기관(Root CA) 운영한다 (2017.2.2) …
저작권 소송 중인 구글은 안드로이드로 얼마 벌었을까
오라클과 자바API 저작권 소송중인 구글이 법정에서 초대형 암초를 만났다. 자신들이 지난 2008년부터 최근까지 안드로이드로 얼마나 벌고 남겼는지, 소위 ‘밑천’이 까발려진 것. 내용을 보면 안드로이드의 상업적 가치가 높은데도 구글이 자바API 저작권료를 제대로 내지 않고 있다는 오라클의 주장에 어느정도 설득력이 있다. 최근 얘기가 아니라, 구글과 오라클의 자바 API 저작권 공방이 한창이던 2년 전 얘기다. 당시 외신 보도로 …
G메일 라이벌 아웃룩닷컴의 수신함 용량 유감
마이크로소프트의 웹메일 아웃룩닷컴(outlook.com)서비스는 수신함 용량 상한선이 50기가바이트(GB) 쯤이다. 딱 떨어지는 50GB가 아니라 정확히는 49.5GB다. 메가바이트(MB)로 환산하면 50,688MB다. 결코 작지 않지만, 내게는 넉넉하지도 않다. 그래서 작년말까지 몇 년 잘 썼던 아웃룩닷컴을 버리고 G메일로 갈아탔다. 아웃룩닷컴을 쓰기 전에 G메일을 쓰고 있었으니, 되돌아간 셈이다. 개인 경험을 취재삼아 2016년말에 MS 아웃룩닷컴 용량은 무제한이 아니다(https://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70104144929)라는 기사를 마감했는데 (편집을 거쳐 게재된 …
MS 아웃룩닷컴 쓰다 G메일로 회귀
이전글 이메일 수신함 용량 고갈(https://mincheol.im/49)에 이어서. 구글의 G메일을 10년 전부터 쓰다가, 마이크로소프트 아웃룩닷컴(구 ‘핫메일’)으로 바꿨다가, 최근 다시 G메일로 돌아왔다. 아웃룩닷컴이 오피스365 클라우드 시스템에 통합, 개편돼 사용자인터페이스와 주요 기능이 바뀌었기 때문이다. 바뀌기 전보다 꽤 불편해졌다. 전에도 한 얘기지만 장기보관 중인 이메일 메시지가 많다. 업무 메일은 무조건 회사 계정을 통해 들어오는데, 용량이 얼마 안 돼 영구 보관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