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의 소속과 이력과 주요 경험을 정리했습니다.
성명·소속
이름: 임민철
다른 표기: 任珉喆, Mincheol Im
현 직장(직책): 헥토미디어(팀장, AI공시팀)
경력사항
헥토미디어Hecto Media 2025년 3월 – 현재
직책: AI공시팀장, AI 활용 공시뉴스 콘텐츠 작성 담당Manager, AI-Assisted Disclosure Content Team
아주경제Aju Business Daily
2020년 7월 – 2025년 2월 · 4년 8개월
- 직책: 증권부 소속 증권 산업 취재 담당Covering Securities News as the Securities News Department member
2023년 11월 – 2025년 2월 · 1년 4개월 - 직위: 차장(대우)Deputy Editor
2023년 2월 – 2025년 2월 · 2년 1개월 - 직책: IT·모바일부 소속 IT산업 취재 담당Covering IT Industry News as the IT·Mobile Department member
2020년 7월 – 2023년 10월 · 3년 4개월 - 직위: 기자Reporter
2020년 7월 – 2023년 1월 · 2년 7개월
유피아이뉴스UPI News
2020년 1월 – 2020년 7월 · 7개월
- 직책: 산업부 소속 산업·재계 취재 담당Covering Industry & Conglomerates News as the Industry Department member
2020년 1월 – 2020년 7월 · 7개월 - 직위: 기자Reporter
2020년 1월 – 2020년 7월 · 7개월
지디넷코리아ZDNET Korea
2009년 9월 – 2019년 12월 · 10년 4개월
- 직책: 소프트웨어·사이버보안팀장으로 취재와 팀 운영 담당Covering Software & Cybersecurity Industry news as the team lead
2019년 4월 – 2019년 12월 · 9개월 - 직위: 수석기자Chief Reporter
2017년 4월 – 2019년 12월 · 2년 9개월 - 직책: 소프트웨어·사이버보안팀 소속 사이버보안 취재 담당Covering Cybersecurity news as the Industry team member
2018년 1월 – 2019년 3월 · 1년 3개월 - 직책: 소프트웨어·사이버보안팀 소속 소프트웨어·사이버보안 취재 담당Covering Software & Cybersecurity news as the Industry team member
2016년 7월 – 2017년 12월 · 1년 6개월 - 직위: 선임기자Senior Reporter
2012년 8월 – 2017년 3월 · 4년 8개월 - 직책: 컴퓨팅팀 소속 IT인프라 취재 담당Covering IT Infrastructure news as the Computing Industry team member
2013년 11월 – 2016년 6월 · 2년 8개월 - 직책: 전자산업팀 소속 가전업·재계 취재 담당Covering Home Appliance Manufacturers & Conglomerates news as the Electronics Industry team member
2013년 6월 – 2013년 10월 · 5개월 - 직책: 엔터프라이즈IT팀 소속 IT인프라 취재 담당Covering IT Infrastructure news as the Enterprise IT Industry team member
2012년 8월 – 2013년 5월 · 10개월 - 직책: 엔터프라이즈IT팀 소속 소프트웨어 취재 담당Covering Software news as the Enterprise IT Industry team member
2010년 3월 – 2012년 7월 · 2년 5개월 - 직위: 기자Reporter
2009년 9월 – 2012년 7월 · 2년 11개월
주요 보도
- [단독] 논란의 클라우드 보안인증 등급제…국정원, 과기정통부와 한 배 탔다 (2023/01/03)
- [단독] 미국 무역대표부 “한국 클라우드보안인증 부담돼” (2022/04/04)
- [단독] 6년 전 멈춘줄 알았던 ‘구글 스트리트뷰’… 재촬영해 업그레이드 (2021/08/10)
- [단독] 클라우드 공공 확산, 역할 커지는 국정원 “민관협력사업도 보안성검토” (2021/06/22)
- [단독] 정부 ‘클라우드 전면전환’에 KT·네이버·삼성 등 10개사 참여…9월 ‘민관협의체’ 출범 (2020/08/18)
- MS “AI 발전할수록 인간의 독창성 존중하게 돼” (2019/11/20)
- [데스크칼럼] 공공서식, 국제표준과 멀어지다 (2019/08/21)
- “칩 디자인을 클라우드서비스처럼 쓰는 미래 열겠다” (2019/07/11)
- AI에 인격이 필요할까 (2019/05/16)
- [기자수첩] ‘SNI 감청’ 억울하다는 방통위, ‘국민 의혹’ 해소해야 (2019/02/17)
- 정부 HTTPS 불법사이트 차단 논란 4대 쟁점 분석 (2019/02/14)
- [기자수첩] 기로에 선 행정전자서명 인증체계 (2018/12/28)
- 카카오, 오픈소스SW 저작권 침해했나 (2018/03/14)
- IT거인들, 클라우드 규제 어떻게 보나 (2017/07/03)
- 구글, 한국 지도 반출 포기했나 (2015/12/28)
- 인기 압축프로그램 ‘빵집’ 개발 중단 (2015/08/11)
- 구글, 한국 지도정보 반출 다시 시도? (2014/12/26)
- ‘은막의 스타’ 헤디 라마, 과학 업적 재조명 (2014/11/10)
- 삼성, 타이젠 스마트TV 먼저 나오나? (2014/09/17)
- 타이젠 지원할 삼성 클라우드박스 서비스 공개 (2014/06/09)
- [르포]IBM 메인프레임 생산 현장을 가다 (2014/04/10)
- 메인프레임의 미래를 건 IBM 기술 빅4 (2014/04/10)
- 타이젠, 디카 시장서 안드로이드 밀어내나 (2013/11/11)
- 삼성전자, 타이젠카메라 이미 만들었다 (2013/10/07)
- [단독]윈도8 태블릿 IE10, ‘액티브X’ 빠지다 (2011/09/16)
영어권 기술·언론·문학 관련 번역
- [번역] 빌 게이츠 인터뷰를 방해한 스티브 잡스를 쫓아낸 기자
- IBM 전문가 기고문으로 양자컴퓨팅 공부
–[번역] 고양이, 큐비트, 그리고 순간이동: 양자 연산의 이상한 세계 (1편)
–[번역] 고양이, 큐비트, 그리고 순간이동: 양자 알고리즘의 이상한 세계 (2편)
–[번역] 고양이, 큐비트, 그리고 순간이동: 양자 연산 애플리케이션의 이상한 세계 (3편) - [번역] 뉴욕타임스의 성공이 저널리즘에 비보가 되는 이유
- [번역]프로그래머 출신 대만 장관 Audrey Tang의 ‘가짜뉴스’에 대한 의견
- [번역] 프린트범죄
- [번역] 자율 주행 차량의 문제: 누가 코드를 통제하나?
- 비트코인 논문 한국어 번역판 (v2.0) 소개
- [번역] 소설 호밀밭의 포수 제22장
- [번역] 미디엄은 퍼블리싱 도구가 아니다
- [번역] 존 챔버스 CEO “디지털화하라, 파괴하라”
- [번역]”넌 그런 겸손 떨 만큼 대단하지 않아”
외부 기고·활동·상훈
- (순서, 링크 첨부 정리 중)
- 삼성언론재단 언론인 연구모임 (2023년) 회차별 강연 보고서
–[어싱크(Async)] 2023년 가을의 거대 언어 모델 이슈들
–[어싱크(Async)] 생성형 AI 동향과 활용 방안
–[어싱크(Async)] 세상 모든 소리를 만들어낼 생성 AI 개발
–[어싱크(Async)] 챗GPT 시대 기자와 저널리즘의 역할 - 인공지능 인사이트, 솔트룩스 블로그 (2024년)
–2024년, 로봇 금융 시대 원년으로 - 인공지능 인사이트, 솔트룩스 블로그 (2023년)
–LLM 폭풍전야… 오픈AI-오픈소스 각축 예고
–AI의 새 명암, 인류 사회와 지구 환경
–‘K-패치 완’? 챗봇들이 꼽은 명절 스트레스 대처법
–생성 AI 열풍, 마침내 금융 산업에 불어온다
–초거대 AI 시대의 언어는 평등하지 않다
–최첨단 영상 스튜디오로 향하는 인공지능, 버추얼 프로덕션의 현재와 미래
–“구글과 오픈AI에는 해자(垓子)가 없다” 구글 엔지니어의 자조
–‘거대 AI 실험을 일시 중지하라’는 제안에 불붙은 찬반 논쟁
–생성 AI와 소통하려면? 클릭, 터치에서 다시 타이핑의 시대로
–챗GPT와 그 후예는 다섯 살 아이 지능에도 다가가지 못한다
–추억의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길잡이가 만능 AI 챗봇으로 부활한다면? - 인공지능 인사이트, 솔트룩스 블로그 (2022년)
–궁극의 ‘아무말 대잔치’ 기계가 탄생했다
–대화하고 노래하는 인공지능, 어디까지 왔나
–마음을 움직이는 AI
–빅테크 기업들의 안면인식기술 거리두기
–퓨샷러닝, AI 데이터 부족 문제의 돌파구가 될까
–솔트룩스, 인간지능과 인공지능의 가장 완벽한 협력을 꿈꾸다
–페이스북 ‘AI 콘텐츠 관리자’가 해결한 문제와 일으킨 문제
–차기 정부 AI 기술 활용 방향은?
–구글에서 쫓겨난 인공지능 윤리 전문가, 빅테크 맞설 독립 연구소 세워…옛 동료들 잇따라 합류
–“안보를 위한 AI”…미국이 동맹국들과 ‘파트너십 포 디펜스’를 결성한 이유 - CHIEF EXECUTIVE Magazine
–[디지털 인사이트] AI, 지속가능성에 눈뜬 기업들의 ESG경영 엔진으로 (2022년 6월호)
–[디지털 인사이트] 포스트 팬데믹 시대에 대비하는 IT 이슈 (2022년 1월호) - Tech Insight, 현대오토에버 블로그
–메타버스 NO! 2022년에는 디지털 트윈이 대세? (2022.01.18) - 제9회 정보보호의 날 기념식 정보보호 유공 표창(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 (2019.7.10)
특별 기획 (정리 중)
- 여성과학기술인 육성지원법 제정 20주년 특별기획
–[여성과기인법 20년] ① 정부, 디지털 대전환 일으킬 ‘세계의 절반’에 적극 투자
–[여성과기인법 20년] ② 학생부터 리더까지…여성과기인 육성·지원 패러다임 전환하라
–[여성과기인법 20년] ③ 여성과기인 육성·지원 핵심정책 성과는
–[여성과기인법 20년] ④ 여성과기인에 ‘기울어진 운동장’ 더 기울인 코로나19
–[여성과기인법 20년] ⑤ 멀어지는 노벨상…대한민국 여성과학인의 현실
–[여성과기인법 20년] ⑥ 100만 여성과기인 잇는다…다양성·포용으로 동반성장
–[여성과기인법 20년] ⑦ 안혜연 이사장 “투자자는 ‘다양성’으로 조직 성과·리스크 본다” - 여성과학기술인 특별기획 후속 릴레이 인터뷰
–[여성과기인] ① 윤심 미라콤아이앤씨 대표 “내겐 기술로 사업 창출하는 DNA 흘러”
–[여성과기인] ② 돌다리 두드리는 ‘SW품질 장인’ 박선영 네이버클라우드 리더
–[여성과기인] ③ KAIST 최새롬 박사 “출산·육아가 경력단절 원인 되지 않기를”
–[여성과기인] ④ 신용녀 한국MS 최고기술임원 “6G부터 탄소까지…미래시장 개척”
–[여성과기인] ⑤ 통계학도에서 기술通으로…전원희 NHN클라우드 센터장
–[여성과기인] ⑥ 양자컴퓨팅 실용화 넘어 일상화로…백한희 IBM퀀텀 연구원
–[여성과기인] ⑦ 김명희 신한금융 CDO “여성 1호 디지털 임원이라는 책임감…고객 중심 신한금융 DT 이끈다”
–[여성과기인] ⑧ 그래픽 제작 꿈꾸던 ‘SF 영화광’, 메타버스에 눈뜨다…박진영 엔닷라이트 대표
–[여성과기인] ⑨ 공무원·벤처·대기업에서 118개국 수출기업 CEO로…김정미 베트올 대표
–[여성과기인] ⑩ 조성은 KT SW개발본부장 “애자일 체계로 KT 개발 문화 혁신…고객 니즈 따라 한 달에도 수 회 업데이트”
–[여성과기인] ⑪ 경력단절 위기를 재도약의 기회로, 이윤희 티밸류 전문위원
–[여성과기인] ⑫ 한지연 네이버클라우드 PM “여성 개발자 꿈꾼다면 다양한 IT프로젝트 경험 쌓아야”
–[여성과기인] ⑬ 삼성 나와 창업한 김사라 서치스 대표 “개인이 내 데이터로 돈 버는 시장 올 것”
–[여성과기인] ⑭ “IT분야, 남성의 직업이란 건 편견…여성 더 경쟁력 있다”
–[여성과기인] ⑮ 홍현숙 울산항만공사 단장 “항만 서비스도 디지털플랫폼에…스마트항만 구축한다”
–[여성과기인] ⑯”남성이 대다수인 개발직, SW 제품에도 영향…다양성 높여야”
–[여성과기인] ⑰ 오순영 KB금융그룹 AI센터장 “에반젤리스트로서 AI 도입 자문…’금융비서’ 모바일로 확산이 첫 목표”
–[여성과기인] ⑱ 이정아 라온화이트햇 대표 “여성 보안인력 위해 사회적 인식개선 필요”
–[여성과기인] ⑲ 박주영 엠로 본부장 “제조부터 엔터까지, 업종 맞춤 공급망 OK”
–[여성과기인] ⑳ 이연수 엔씨소프트 NLP센터장 “초거대 AI 모델 한계 넘겠다”
–[여성과기인] ㉑ ‘구독자 25만명’ 의사 유튜버 권정은·홍혜리 헤스티아여성의원장
–[여성과기인] ㉒ 임혜숙 교수 “美·中 기술패권 경쟁서 韓 위치 고민 시급…20년 뒤 봐야”
기술 발표/학회 현장 보도 (정리 중)
- 인텔 미국 본사 / 인텔이노베이션 2023 (20230917~20230922 )
- AWS 미국 라스베이거스 / 리인벤트 2022 (20221127~20221204 )
- SAP 미국 샌프란시스코 / 비즈니스 이노베이션 데이 (20221113~20221117 )
- 인터스피치 20220919
- ATS 2019 특별인터뷰 샤오우엔 혼 MS / 170727 MS리서치아시아 소장 (191114 )
- ACM모비시스2019 MS리서치 빅터 바울 (190621 )
- 리스크파이브 싸이파이브 CTO (190619 )
- MS 빌드 2019 시애틀 (190506 )
- RSAC 2019 출장 (190226 )
- ATS 2017 171113 171122
- 재팬IT위크 소프트캠프(20180510 )
- 어도비 서밋 (20180327~20180329 )
- 인텔 도쿄 AI데이 (20170405 )
- 어도비 심포지엄(20160727 )
- 넷앱 인사이트(20151011~20151014 )
- 시스코 라이브(20150607~20150612 )
- 화웨이 캠퍼스 팸투어(20150408~20150410 )
- HP 월드투어 미디어서밋 인도(20140701 )
- IBM 메인프레임 50주년 기념 뉴욕 출장(20140407 )
- 인텔 데이터센터 일본 도쿄 출장(20140529 )
- 델 APJ GCC 서밋 중국 쓰촨성 청두 출장(20131105 )
- CA월드 2013 미국 라스베이거스 만달레이베이(20130421~20130424 )
- IBM 인터커넥트 2012(20121008~20121009 )
- 시스코라이브 2012(20120611~20120614 )
- MS 빌드 2011(20110911~20110914 )
–MS 윈도8 이벤트, 10대 관전 포인트(110913 )
–MS, 개발자용 윈도8-태블릿-SDK 풀셋 공개(110914)
–MS, 삼성 ‘윈텔’ 태블릿 사양 공개(110914 )
–이것이 삼성 윈도8 태블릿…’개봉샷’(110914 )
–윈도8 태블릿 써보니…”한글 입력 어떻게?”(110915 )
–바탕화면을 ‘앱’으로…윈도8 UI 변화는? (110915 )
–발머 CEO, 개발자들에게…”윈도가 기회다” (110915 )
–[단독]윈도8 태블릿 IE10, ‘액티브X’ 빠지다 (110916 )
–윈도8, 더 강력해져 돌아왔다…’보안 UP’ (110916 )
–[단독]윈도8 써보니…”윈도, 사라지다” (110918 ) - 20110412~ IBM 임팩트 2011
–IBM 임팩트2011 개막(110411 )
–IBM 잔치에 오라클 광고?(110412 )
–IBM “조직 바깥 프로세스도 최적화하라”(110412 )
–IBM, 개방형 프로세스 통합 전략을 말하다(110413 )
–IBM, 산업별 맞춤 클라우드 어플라이언스 출시(110413 )
–IBM, CRM의 종언…”이제 ‘스마터커머스’다”(110414 )
–IBM “BPM도 UX로 차별화한다”(110416 ) - 20110123~20110127 솔리드웍스 월드
–캐드 소프트웨어 시장은 지금 3D 열풍(110125 )
–솔리드웍스가 3D 캐드 대세론을 외치는 이유(110125 )
–솔리드웍스, 오픈소스PLM과 손잡았다(110126 )
–자동차 디자인도 ‘오픈소스’로 DIY하라(110126 )
–솔리드웍스, “오토데스크 나와!”(110126 )
–3D캐드 시장도 N스크린 열풍(110127 ) - 20100901~20100904 VM월드
–“개발자들이여, VM웨어 클라우드속으로 오라”(100901 )
–이제 소비자 컴퓨팅이다” VM웨어, 데스크톱 가상화 확키운다(100901 )
–야심만만 VM웨어, 왜 애플리케이션을 외치는가?(100901 )
–“클라우드 시대, OS의 의미는 약해지고 있다”(100901 )
–“VM웨어 가상화 클라우드와 자바는 찰떡궁합”(100902 )
–VM웨어 “‘적과의 동침’은 클라우드 리더가 되기위한 조건”(100902 ) - 20100503~20100506 슈나이더일렉트릭
–에너지 사용 현황, 온라인으로 한번에 관리한다(100505 )
—
240101 최초 작성. 수시 변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