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거대 언어 모델 고도화의 다음 행선지, 멀티모달 AI

기술 업계의 거대 언어 모델(LLM) 개발 경쟁이 지속하고 있습니다.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메타(전 페이스북) 등 미국의 빅테크 기업부터 네이버와 카카오 등 국내 IT 분야 대기업의 투자가 여전합니다. 글로벌 LLM 기술 미국 오픈AI가 사람처럼 자연스러운 말하기와 글쓰기, 코딩과 대화를 할 줄 아는 AI 챗봇 ‘챗GPT’를 2022년 11월 출시하면서 시작했다고 할 수 있는데요. 오픈AI가 비영리 민간 연구소에서 부분 …

[해결] 워드프레스 글 발행일, 수정일 함께 표시하는 테마 편집 방법

워드프레스 블로그에 발행된 글은 발행한 날짜를 표시한다. 처음 발행한 날짜는 이후 글 내용을 고쳐 업데이트해도 기본적으로 바뀌지 않는다. 기존 글의 내용에 변화가 있을 때, 이를 나타내기 위해 고친 시점을 글 제목 위치에 함께 표시하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 글에서는 내가 사용 중인 워드프레스 기본 테마 Twenty Seventeen을 기준으로 이렇게 글 발행일, 수정일을 함께 표시하는 테마 …

[보존]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을 DX로 쓰는 이유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이라는 말이 있다. 2021년 7월 11일 현재 구글에서 ‘Digital Transformation’을 검색한 결과는 약 4억9900만건에 달하고, 한국어 음차 표기인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을 검색한 결과는 약 103만건으로 나타난다. 이 검색 결과 건수와 이 어휘를 한국어로 번역한 ‘디지털 전환(약 3080만건)’, ‘디지털 혁신(약 2510만건)’, ‘디지털 변환(약 868만건)’, ‘디지털 전이(약 81만건)’,  ‘디지털 변혁(약 39만건)’ 등의 검색 결과 건수를 모두 합하면 한국에서만 …

[보존] 정부의 웹사이트 총량제는 코로나19 방역을 어떻게 방해하나

질병관리청의 전신인 ‘질병관리본부’는 지난 2003년 국립보건원을 확대 개편한 조직으로 출범했습니다. 질병관리본부의 최초 공식 웹사이트 주소는 ‘kcdc.go.kr’ 였고, 출범 이듬해인 2004년부터 작년까지 ‘cdc.go.kr’ 라는 도메인을 사용해 왔죠. 올해2021년 초 질병관리청은 웹사이트를 통해 다음과 같이 공지합니다. “질병관리청 누리집 이용시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cdc.go.kr 도메인(개청 전 사용)과 kdca.go.kr(개청 후 사용) 도메인을 병행 사용하였으나 도메인 관리의 일원화를 위해 21.04.19(월) 09시 …

[보존] 국민의례, 선 코로나19 시대의 화석

코로나19 사태로 확산된 비대면 문화는 전국민의 생활반경과 행동양식을 바꿔 놓았죠. 작년2020년 초부터 우리는 이제 당장 본질적으로 하고자 한 것들에 대해, 그게 디지털 온라인 가상 세계에서도 유효하고 원활할 것인지 고민하게 됐습니다. 우선순위가 달라진 겁니다. 일상을 지속하는 데 어려움이 닥쳤으니 더 이상 본질적이지 않은 것을 해내려고 애쓰지 않으려는 거죠. 조만간 그런 게 있었다는 사실조차 대체로 잊고 지내게 …